무역인 블랙빈 STUDY

무역관련 자격증_무역실무에 도움 될까 ? (ft.국제무역사,무역영어)

블랙빈 2022. 10. 3. 15:02

안녕하세요 블랙빈입니다~
저는 2018년 하반기부터
무역관련직에 종사하거나,
무역관련공부(관세사)를 해왔습니다.

현재도 무역부에 재직중입니다.

첫 취업시에는
무역에 대해 1도 몰랐기 때문에,
무조건 무역에 관련된, 그리도 도움이 될 만한
자격증을 취득하기에 힘썼던 것 같습니다.

경력이 없었던 신입으로서는
그것이 최선이라고 생각했고,
아마도 기업입장에서는 이론으로라도
무역을 익히고, 관심이 어느정도 있다는 걸 증명한
사람을 조금 ? 더 뽑고 싶어 했을수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.
(물론, 사람이 먼저지만요 ! , 세부스펙은 그 이후판단)


저는 무역영어1급, 국제무역사 1급
자격증을 취득했고,



처음 무역인으로 도전하는 신입들이
가장 쉽게 접할수 있는 무역관련 자격증이
바로 이 2가지 자격증이 아닐까 싶습니다.

(물론 그 외에도 물류관리사, 원산지 관리사,
외환관리 자격증, 관세사 자격증도 있지만
가장 넓고 얕게 무역을 훑어보려면,
위 두가지 자격증이 가장 좋을 것 같아요)


제 개인적인 생각이지만,
두가지 자격증을 취득하면,
무역실무를 직장에서 하기에
도움이 된다/ 안된다라는 입장에서는

도움이 된다
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.

그 이유는
REASON 1
무역관련학과를 나오지 않는 이상,
무역에서 사용되는 아주 기본적인 단어들을
실생활에서 기본지식으로 익히기는 쉽지 않다.

FOB, CIF, FCL, LCL 이라는
단어를 들어본 적 있으신가요 ?
영어를 할줄 아시는 분들이라도,
이 단어들이 무엇인지 모를가능성이 높습니다.

하지만, 무역계에 잠시라도 몸을 담군 사람이라면,
당연히 알수밖에 없는 단어들이구요

자격증 공부를 하다보면,
무역에서 자주 사용되는,
필수적으로 사용될수 밖에 없는 단어들의
뜻을 익히는 데 도움이 됩니다.

REASON 2
전반적인 무역 프로세스에 대한 이해

무역이라하면,
당연히 수입은 물건을 국외에서 국내로
수출이라면, 국내에서 국외로 내보내는것이라는 건
쉽게 캐치할 수 있습니다.

하지만,
그 과정에서 각 업체마다
다른 관습으로, 조건으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고,
이런 업무적 프로세스를 이해하려면,
무역에 대한 기본 지식이 필요합니다.

예를 들어,
외화결제를 할 때,
쉽게 송금 T/T 로 진행할 수 있지만,
L/C 로 진행할 수도 있고,
D/P 나 D/A로도 진행할수도 있겠죠

그리고 보세운송을 하는 물품의경우,
'보세' 가 무엇인지

'통관'이 무엇인지
이런 프로세스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가 있는것이
무역실무를 익히는데, 스피드를 높일 수 있습니다.

REASON 3
자신감
누구나 처음 새로운 일을 하게 되면,
두렵고 내가 잘 할수 있을까 라는
걱정을 하기 마련입니다.
물론 저도 그랬고요
하지만, 내가 그래도 무역 자격증을 취득함으로서
무역에 대한 단어들을 어느정도 익히고
프로세스를 어느정도 파악했다면,
일을 배우고 직접 이끌어나가는데 있어,
분명 어느정도의 자신감이 될 것입니다.


사실 무역실무라는 것이 그렇게 어려운 업무가
아닙니다.

다만, 계속 하다보면
거래 아이템에 대한 지식이 쌓이고,
업체와 친분이 생기고, 손에 익고
팁들이 생기고, 좀더 여유롭고 예리한 실무를 할수 있게 된다는 것 뿐이죠

무역사무, 수출입사무 쪽으로
취업희망하는 신입지원자는

저는 국무사1급, 무역영어1급정도
취득하시는건 추천드립니다!


모든 예비무역인, 무역인들 파이팅 !